Table of Content
- Introduction - {:.} 끼워 맞춤의 종류 - {:.} 구멍 기준식 vs 축 기준식 - {:.} 많이 쓰는 패턴
틀린 부분이 있으면 성심 성의 껏 수정하겠습니다.
Introduction
기계 부품들은 서로 조립된다.
벽돌을 쌓듯 단순히 면과 면이 닿아서 조립되는 경우는 관계가 없지만, 부품이 다른 부품에 들어가야 하는 경우에는 끼워맞춤이 필요하다.
무슨 말일까? 맥북을 언박싱하는 장면을 상상해보자
설레시죠?
이 박스는 치수를 정확히 맞추었기 때문에 이 맥북이 들어 갈 수 있게 된 것이다. 만약 박스의 크기가 크거나 작았다면 맥북은 상자 안으로 들어 갈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끼워맞춤은 기계설계에서 축(Shaft)과 구멍(Hole)에서 많이 쓰인다.
샤프트(긴 봉)가 다른 부품(부싱)에 들어가 있다.
물론 구멍의 크기를 크게 설계해도 되지만, 그렇게 하면 부품이 움직이면서 원하지 않는 결과를 가져 올 것이다.
결국 끼워맞춤이란 축과 구멍의 조립되는 정도를 정밀하게 컨트롤 하는 것이다.
끼워 맞춤의 종류
)
끼워맞춤에는 헐거운 끼워맞춤, 중간 끼워맞춤, 억지 끼워맞춤이 있는데
딱봐도 TRANSITION이 제일 좋아보이는구만 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다.
하지만 생각보다 간단하지가 않다. 이렇게 부르는 것은 우리가 알기 쉽게 표현할때가 그렇고 실제 도면상에 표현할때는 H7나 H6과 같은 기호로 나타내어야 기계가공자가 치수에 맞게 가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일 좋은 걸 고르면 되겠네라고도 생각할 수 있겠지만,
가공비가 많이 든다. 정밀하게 가공하고, 오차가 없이 가공할 수록 가공에 드는 비용이 크게 올라가며, 따라서 상황에 맞추어서 적재적소에 정밀하게 가공하거나, 보편적으로 가공하도록 설계하는 방향이 옳다.
구멍 기준식 vs 축 기준식
일반적으로 구멍쪽이 정밀하게 가공하기 어려우므로 구멍을 기준으로 설계하는게 좋다.(구멍 기준식 설계)
많이 쓰는 패턴
- 헐거운 끼워맞춤 : H7/f7 등등
- 중간 끼워맞춤 : H7/h6 등등
- 억지 끼워맞춤 : H7/p6 등등